1. 태양광산업의 트랜드 변화
□ 경쟁요소의 변화
○ 태양광산업은 금융위기 이후인 '09년을 변곡점으로 Srller's Market에서 Buyer's Market으로 패러다임이 변화
- 이는 과거 경쟁력의 핵심요소인 원재료 확보의 중요성 반감, 기술발전에 따른 진입장벽의 완화, 시장진입자 증가에 따른 공급확대 등이
주요 원인
- 원재료가격의 급락은 Supply Chain 전반에 가격하락을 초래하면서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 달성시기를 예상보다 크게 앞당길 것으로
전망
* 그리드 패리티 : 전기 1㎾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태양광 발전비용과 화석연료를 사용하여 생산한 일반 전력비용이 같아지는 수준.
그리드 패리티는 각국의 국가정책, 일조량, 산업경쟁력, 모듈가격의 하락속도, 전기요금 등에 따라 도달시기가 각각 다름.
* 그리드 패리티는 태양전지 모듈 기준으로 $0.95/Wp 수준에서 달성 예상
- 이는 과거 경쟁력의 핵심요소인 원재료 확보의 중요성 반감, 기술발전에 따른 진입장벽의 완화, 시장진입자 증가에 따른 공급확대 등이
주요 원인
- 원재료가격의 급락은 Supply Chain 전반에 가격하락을 초래하면서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 달성시기를 예상보다 크게 앞당길 것으로
전망
* 그리드 패리티 : 전기 1㎾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태양광 발전비용과 화석연료를 사용하여 생산한 일반 전력비용이 같아지는 수준.
그리드 패리티는 각국의 국가정책, 일조량, 산업경쟁력, 모듈가격의 하락속도, 전기요금 등에 따라 도달시기가 각각 다름.
* 그리드 패리티는 태양전지 모듈 기준으로 $0.95/Wp 수준에서 달성 예상
○ '10년 이후에는 원재료 확보보다 수요 창출능력이 차별적 요소가 될 전망
- 원재료 확보용이, 가격의 하향 안정화에 따라 규모의 경제 확보, 원가경쟁력, 기술 및 품질경쟁력 등이 핵심 경쟁력으로 대두
- 이는 최근 글로벌 선도기업들이 시장선점을 위해 규모의 경제 확보를 위한 설비증설 경쟁, 수직계열화, 기술개발 등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데서 잘 나타남
- 원재료 확보용이, 가격의 하향 안정화에 따라 규모의 경제 확보, 원가경쟁력, 기술 및 품질경쟁력 등이 핵심 경쟁력으로 대두
- 이는 최근 글로벌 선도기업들이 시장선점을 위해 규모의 경제 확보를 위한 설비증설 경쟁, 수직계열화, 기술개발 등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데서 잘 나타남
□ 시장 차별화 진행
○ Supply Chain 별로 구조적 공급과잉이 지속되고 있으나 고순도 제품의 경우 오히려 공급부족 현상 발생
- 선도기업들은 경영효율성을 통한 원가절감, 기술혁신을 통한 고순도 제품생산으로 시장지배력이 더욱 강화
- 반면 후발기업들은 원가경쟁력 및 제품의 품질 열위로 시장 축소
- 선도기업들은 경영효율성을 통한 원가절감, 기술혁신을 통한 고순도 제품생산으로 시장지배력이 더욱 강화
- 반면 후발기업들은 원가경쟁력 및 제품의 품질 열위로 시장 축소
□ 세계시장 재편 움직임
○ 태양광시장은 독일, 스페인 중심에서 향후에는 독일, 미국 및 중국 중심으로 재편될 전망
- 미국과 중국정부의 정책적 지원 강화로 이들 국가의 고성장 예상
- 미국과 중국정부의 정책적 지원 강화로 이들 국가의 고성장 예상
○ 미국 오바마정부는 세계 금융위기를 계기로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투자 확대
- 향후 10년간 1,500억 달러를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에 투입하여 500만개의 녹색 일자리 창출
- 태양광발전시설 설치시 투자금액의 30%의 세금공제 및 주택용 태양전지 패널의 설치비용 전액에 대한 소득공제 혜택 부여
- 미국 태양광시장은 '08 ~ '13년 중 연평균 67.4%의 고성장 예상
- 향후 10년간 1,500억 달러를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에 투입하여 500만개의 녹색 일자리 창출
- 태양광발전시설 설치시 투자금액의 30%의 세금공제 및 주택용 태양전지 패널의 설치비용 전액에 대한 소득공제 혜택 부여
- 미국 태양광시장은 '08 ~ '13년 중 연평균 67.4%의 고성장 예상
○ 중국정부는 고도성장에 따른 화석연료의 대량 소비와 만성적인 전력부족 해결을 위한 태양광 등 대체에너지 개발을 적극 지원
- 중국의 태양광설비 수요는 전체 세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8%에 불과하며 태양전지 생산량의 98%는 수출
- 중국 정부는 재생에너지법, 신재생에너지 중장기 발전계획 등을 수립하여 적극 지원
- 발전차액지원제도(FIT : Feed-in Tariff)를 추진하고 있으며 태양광 관련 기업의 기술개발 비용의 150%를 세금공제
- 중국의 자국내 태양광설비 규모는 2009년 현재 160MW이며 2020년에 20GW 수준으로 확대될 전망
- 중국의 태양광설비 수요는 전체 세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8%에 불과하며 태양전지 생산량의 98%는 수출
- 중국 정부는 재생에너지법, 신재생에너지 중장기 발전계획 등을 수립하여 적극 지원
- 발전차액지원제도(FIT : Feed-in Tariff)를 추진하고 있으며 태양광 관련 기업의 기술개발 비용의 150%를 세금공제
- 중국의 자국내 태양광설비 규모는 2009년 현재 160MW이며 2020년에 20GW 수준으로 확대될 전망
▣ 국내 태양광 업체 현황
국내 주요 태양광 Supply Chain 현황
폴리실리콘업체 현황
잉곳/웨이퍼업체 현황
박막 태양전지업체 현황
결정질실리콘 태양전지업체 현황
자료 : kdb
'재테크 > 그린 에너지/태양 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태양광 산업 동향 (0) | 2011.02.08 |
---|---|
독일 태양광 대표기업, 실적부진과 부채증가로 M&A 위험 고조 (0) | 2011.02.08 |
미국 박막형 태양전지 시장 확대 (0) | 2011.02.08 |
실리콘밸리 태양광산업 (0) | 2011.02.08 |
2010 미국 태양에너지 전시회(Solar Power International) (0) | 2011.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