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성장하는 美 솔라시장, 각국 경쟁 치열
- 미국, 2013년부터 세계 최대 시장으로 부상 -
- SPI에 각국 최신기술 선보여…한국 업체도 다수 참가 -
자료원 : SPI 웹사이트
□ 북미 최대 태양에너지 전시회 SPI
ㅇ SPI 개요
- 2010 미국 태양에너지 전시회(Solar Power International, 이하 SPI)가 10월 12일부터 3일간 로스앤젤레스 컨벤션센터에서
성황리에 개최됨.
성황리에 개최됨.
- 태양전력협회(SEPA: Solar Electric Power Association)와 태양에너지 산업협회(SEIA: Solar Energy Industries
Association)가 협력해 2004년에 100여 개 업체가 참가한 가운데 최초 개최된 이후 SPI 전시회는 놀라운 속도로 성장해
북미에서 가장 큰 태양에너지 행사로 부상했음.
Association)가 협력해 2004년에 100여 개 업체가 참가한 가운데 최초 개최된 이후 SPI 전시회는 놀라운 속도로 성장해
북미에서 가장 큰 태양에너지 행사로 부상했음.
- 개최 7회를 맞이한 이번 전시회에는 중국, 독일, 스페인, 캐나다, 대만 등 전 세계 20여 개국에서 약 1100개 업체가 참여했고,
태양에너지 산업 관계자, 투자자, 정부 관계자 등을 포함한 총 2만7000명 이상의 관람객이 방문함.
태양에너지 산업 관계자, 투자자, 정부 관계자 등을 포함한 총 2만7000명 이상의 관람객이 방문함.
ㅇ 다양한 행사 열려
- 이번 전시회 기간에 태양광 시장, 정책, 재정, 기술, Cross-cutting에 관한 다양한 컨퍼런스 세션이 개최됐음.
200여 명의 유명 인사들이 태양광과 Smart-Grid, 태양광 산업의 친환경화, 미국 태양광산업과 세계와의 비교 등 광범위한
주제에 대해 강연하고 질의응답하는 시간을 가짐.
200여 명의 유명 인사들이 태양광과 Smart-Grid, 태양광 산업의 친환경화, 미국 태양광산업과 세계와의 비교 등 광범위한
주제에 대해 강연하고 질의응답하는 시간을 가짐.
- 또한 컨퍼런스 전후에 열린 워크샵에서는 태양광산업의 정책, PV 시스템 설치의 기본, 태양광시장 소개 등의 다양한 주제를
다뤄 태양광산업에 처음 진입하는 이들에게 기초 지식을 제공하는 기회를 마련함.
다뤄 태양광산업에 처음 진입하는 이들에게 기초 지식을 제공하는 기회를 마련함.
- 이밖에 아이디어 스와핑, 멤버십 미팅, 네트워크 파티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전시회 기간에 열렸음.
전시회 둘째 날에는 태양에너지에 대해 관심있는 대중들에게 무료로 전시회를 둘러볼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됨.
전시회 둘째 날에는 태양에너지에 대해 관심있는 대중들에게 무료로 전시회를 둘러볼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됨.
전시회 내부 광경

자료원 : 사진 촬영
자료원 : 사진 촬영
ㅇ 세계 태양에너지 관련 신기술 경합의 장
- 이번 전시회에는 Suntech, ET Solar, JA Solar, Yingli Solar, Solarfun 등 중국 기업이 대거 참가함.
Suntech는 이번 전시회에서 최대 출력 200W, 변환 효율 15.7%의 고효율 태양광 모듈 HiPerforma TM Pluto200-Ade을
선보이면서 설치 및 시스템 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을 부각시켜 관람객들의 주목을 받았음.
Suntech는 이번 전시회에서 최대 출력 200W, 변환 효율 15.7%의 고효율 태양광 모듈 HiPerforma TM Pluto200-Ade을
선보이면서 설치 및 시스템 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을 부각시켜 관람객들의 주목을 받았음.
- Solarfun은 UL 인증을 획득한 다결정 태양광 모듈 SF 260-36을 선보였는데, 이는 평균 효율 15%로 건물 옥상 및 대규모 전력
이 필요한 곳에 적합하다고 업체 관계자는 설명함.
이 필요한 곳에 적합하다고 업체 관계자는 설명함.
- 일본에서는 SANYO, KYOCERA, SHARP 등의 대기업들이 참가함. SANYO는 이번에 19.3~20.2%의 고효율 태양광 모듈,
잉곳 그리고 웨이퍼를 선보임. 특히 주위에서 반사되는 태양광까지도 활용 가능하며 설치가 용이한 양면 솔라패널 HIT Double
은 기존 패널에 비해 제곱피트 당 최대 30% 이상의 전력생산(Power Generation)이 가능해 많은 주목을 받음.
잉곳 그리고 웨이퍼를 선보임. 특히 주위에서 반사되는 태양광까지도 활용 가능하며 설치가 용이한 양면 솔라패널 HIT Double
은 기존 패널에 비해 제곱피트 당 최대 30% 이상의 전력생산(Power Generation)이 가능해 많은 주목을 받음.
SANYO의 HIT Double 솔라패널
자료원 : SANYO 웹사이트
- 독일에서는 SCHOTT Solar, SMA, 큐셀, 프로니우스 등이 참가했음. 세계적인 인버터 제조업체인 SMA는 새로운 인버터
‘Sunny Boy’를 출시해 관람객들의 관심을 받음.
‘Sunny Boy’를 출시해 관람객들의 관심을 받음.
- Sunny Boy는 이전모델에 비해 더 큰 LCD 디스플레이를 갖췄고, Wireless 블루투스 기술로 집안 어디에서나 전력 사용을
모니터(Grid Monitoring)할 수 있으며, 무게를 줄여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업체 관계자는 언급함.
모니터(Grid Monitoring)할 수 있으며, 무게를 줄여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업체 관계자는 언급함.
- 또한 SCHOTT Solar는 태양열 집열기와 효율 17.6%의 다결정 태양광 모듈을, 프로니우스는 태양광 인버터 Fronius I○Plus
시리즈를 일반에 공개함.
시리즈를 일반에 공개함.
ㅇ 국가관도 이목을 끌어
- 이번 전시회에서는 한국을 포함 일본, 독일, 대만, 멕시코, 스페인 등이 국가관을 설치했음. 멕시코 티후아나 경제 개발 단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태양광 센터, 미국 AGA, NABCEP, Solar Energy International 등 여러 비영리 단체들 또한 자체
부스를 가지고 참가함.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태양광 센터, 미국 AGA, NABCEP, Solar Energy International 등 여러 비영리 단체들 또한 자체
부스를 가지고 참가함.
- 스페인관의 경우 자국 태양광 관련 중소기업의 PV 셀, 트래커, 모듈과 패널을 선보임. 일본관과 멕시코관은 태양에너지 투자
유치 활동을 전개함.
유치 활동을 전개함.
- 한국관에서는 (주)경원, 에스엔디, 파루, 썬트랙, 에스에프씨, (주)탑썬, 다스테크, 에스에너지 등 총 8개 사가 참가해 인버터,
PV 모듈, 트래킹 시스템 등을 선보임.
PV 모듈, 트래킹 시스템 등을 선보임.
- 전 세계 각국의 바이어들은 물론이고 셀러들이 방문해 한국의 첨단 기술력을 확인하고 한국 업체들과의 비즈니스 파트너십에
큰 관심을 보임.
큰 관심을 보임.
한국관 전경

자료원 : 사진 촬영
□ 시사점
ㅇ 미국, 최대 태양광시장으로 부상할 전망
- Greentech Media Research에 따르면 미국 PV 시장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연평균 48%의 성장률을 보이며 2012년에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됨.
미국 PV 시장 규모 성장 추이

자료원 : 2009 Greentech Media Research The US PV Market
- 이에 따라 관련 기업들은 미국 주요 업체들의 동향을 잘 파악해 원하는 제품을 개발하고 이들과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적극적인 미국 진출을 타진할 필요가 있음.
- 또한 관련 제품의 UL인증을 받거나 현지 기업과의 제휴를 통해 기술을 획득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하며, 현지에서 PV셀이나 패널공장을 단독 혹은 합작으로 설립하는 전략도 검토할 필요가 있음. //
송용진 ( moses@kotra.or.kr )
자료원 : SPI 전시회 참관 및 업체 관계자 인터뷰, 각 사 웹사이트, SPI 웹사이트, Greentech Media Research, 코트라 로스앤젤레스KBC 자체보유자료 종합
'재테크 > 그린 에너지/태양 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박막형 태양전지 시장 확대 (0) | 2011.02.08 |
---|---|
실리콘밸리 태양광산업 (0) | 2011.02.08 |
태양광 산업, 연습 게임은 끝났다 (0) | 2011.02.08 |
캘리포니아, 대규모 Beacon Solar Energy Project 시작 (0) | 2011.02.08 |
독일 태양광산업, 비싼 대가에도 미래는 글쎄? (0) | 2011.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