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캘리포니아, 대규모 Beacon Solar Energy Project 시작
- 캘리포니아주, 태양 에너지 기지로 급부상할 듯 -
- 국내기업, 세계 각국과 경쟁할 수 있는 글로벌 기술력 확보해야 -
- 국내기업, 세계 각국과 경쟁할 수 있는 글로벌 기술력 확보해야 -
송용진 ( moses@kotra.or.kr )
□ 美 캘리포니아, 250㎿급 20년 만에 Beacon Solar Energy Project 승인
○ 세계 11번째 대규모 태양열 발전 프로젝트, Beacon Solar Energy Project
- Beaon Solar Energy Project는 신재생에너지 공급 전문기업 NextEra Energy Resources의 그룹계열사인 플로리다 주 전력공급
회사 Florida Power &Light(이하FPL)와 그 하청업체인 Beacon Solar사가 모하비 사막 서부 가장자리에 250㎿급 태양열 발전소
를 건설하는 대규모 사업임.
회사 Florida Power &Light(이하FPL)와 그 하청업체인 Beacon Solar사가 모하비 사막 서부 가장자리에 250㎿급 태양열 발전소
를 건설하는 대규모 사업임.
- 이는 연간 약 8만8000가구에 전력을 공급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2012에이커 규모의 부지에 약 50만 개의 태양광 집열기를 설치
해 물이나 오일로 찬 튜브나 파이프에 태양광을 집중해 가열함으로써 발생한 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구조를
가짐.
해 물이나 오일로 찬 튜브나 파이프에 태양광을 집중해 가열함으로써 발생한 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구조를
가짐.
Beacon Solar Energy Project의 발전구조
Beacon Solar Energy Project의 발전구조
자료원 : NextEra Energy
- Beacon Solar Energy Project의 발전소는 100% 태양열에 의해서 가동되며 발전소 가동 준비시간 감축 및 열전달유체(heat
transfer fluid)의 냉각점(54℉)을 유지하기 위해 천연가스를 원료로 하는 2대의 보조 보일러 설비를 갖춤.
transfer fluid)의 냉각점(54℉)을 유지하기 위해 천연가스를 원료로 하는 2대의 보조 보일러 설비를 갖춤.
- 또한, Beacon Solar Energy Project의 발전소는 지하수를 이용해 발전소 내 직원들이 사용하는 생활용수와 냉각제로 쓰이는 공업
용수를 모두 조달할 계획이며 연간 약 1600에이커 피트에 해당하는 지하수가 사용될 예정임.
용수를 모두 조달할 계획이며 연간 약 1600에이커 피트에 해당하는 지하수가 사용될 예정임.
- 발전소가 건설될 지역은 모하비 사막 동부 끝자락에 있는 Kern Country지역 2012에이커(약 814만㎡)의 규모로 캘리포니아주
고속도로 SR-14(California State Route-14)를 끼며 캘리포니아 시티 지역으로부터 약 4마일 정도 떨어짐.
고속도로 SR-14(California State Route-14)를 끼며 캘리포니아 시티 지역으로부터 약 4마일 정도 떨어짐.
- 이 지역은 해발고도 2025에서 2220피트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대체로 평평한 지형을 가져 과거에는 농장으로 이용되기 함.
- 총 10억 달러의 건설비용이 책정됐으며 2009년 3분기부터 발전소 건설공사에 착수해 완공까지는 25개월에서 30개월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며 2011년 1분기 완공 예정임.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며 2011년 1분기 완공 예정임.
- 완공 후에는 2011년 2분기부터 약 4개월 동안의 시범 운영기간을 거쳐 2011년 3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전력생산 및 공급이 시작
될 예정임.
될 예정임.
- 한편 Beacon Solar Energy Project의 발전소 건설부지는 LA 수도전력국(Los Angeles Department of Water and Power: 이하
LADWP)의 Barren Ridge Substation(변전소)와 2마일(약 3.22㎞) 떨어진 거리에 위치해 LADWP의 변전소와 파이프라인 연결
여부 및 파이프라인 연결위치는 LADWP의 시스템영향평가에 따라 추후에 결정될 예정임.
LADWP)의 Barren Ridge Substation(변전소)와 2마일(약 3.22㎞) 떨어진 거리에 위치해 LADWP의 변전소와 파이프라인 연결
여부 및 파이프라인 연결위치는 LADWP의 시스템영향평가에 따라 추후에 결정될 예정임.
Beacon Solar Energy Project 건설 부지
Beacon Solar Energy Project 건설 부지
자료원 : NextEra Energy
○ 20년 만에 이뤄지는 캘리포니아주의 첫 번째 태양열 프로젝트
- 캘리포니아주 에너지위원회(California Energy Commission)는 지난 1년간 캘리포니아주 환경법안(California Environmental
Quality Act)에 따라 공공복지 및 안전, 환경적 영향과 기술적 측면을 모두 고려해 Beacon Solar Energy Project를 검토했으며
2010년 8월 25일 만장일치로 최종 승인함.
Quality Act)에 따라 공공복지 및 안전, 환경적 영향과 기술적 측면을 모두 고려해 Beacon Solar Energy Project를 검토했으며
2010년 8월 25일 만장일치로 최종 승인함.
- 이는 캘리포니아주 법이 캘리포니아주(州) 소유의 전력공급업체들을 대상으로 올해 말까지 발전소 전체 용량의 20% 이상을
신재생에너지 자원으로부터 공급할 것을 요구한 데서 기인한 것임.
신재생에너지 자원으로부터 공급할 것을 요구한 데서 기인한 것임.
- Beacon Solar Energy Project는 캘리포니아주 에너지 위원회(California Energy Commission)가 허가한 대규모 태양열 발전소
건설안으로서 이를 시작으로 앞으로 더 많은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건설 사업이 활발히 이뤄질 것으로 전망됨.
건설안으로서 이를 시작으로 앞으로 더 많은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건설 사업이 활발히 이뤄질 것으로 전망됨.
- 한편 Beacon Solar Energy Project는 365일 24시간 발전소를 가동하기 위해서 2년 동안 66명의 정규직 근로자 및 475명에
이르는 건설 근로자들을 포함해 약 1000명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이르는 건설 근로자들을 포함해 약 1000명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또한 태양 에너지라는 신재생에너지 자원을 이용하게 됨으로써 화석연료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질산화물(NOx), 황산화물(SOx),
VOC(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각종 오염물질의 배출이 연간 3000톤가량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됨.
VOC(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각종 오염물질의 배출이 연간 3000톤가량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됨.
- Beacon Solar Energy Project는 지역 일자리 창출 및 친환경적인 에너지 사용을 통한 각종 대기오염, 수질오염 예방뿐만 아니라
에너지 자원 의존도 감소와 세금을 통한 재정수입 확대 등의 캘리포니아주 전반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전망됨.
에너지 자원 의존도 감소와 세금을 통한 재정수입 확대 등의 캘리포니아주 전반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전망됨.
- 현재 캘리포니아주 에너지 위원회(California Energy Commission)와 Beacon Solar사는 올해 말에 종료되는 오바마 정부의 경기
부양 프로그램(American Recovery and Reinvestment Act) 및 미국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에서 진행하는 신재생에
너지 보조 프로그램(REPI: Renewable Energy Production Incentive)의 지원금 혜택을 얻기 위해서 고군분투함.
부양 프로그램(American Recovery and Reinvestment Act) 및 미국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에서 진행하는 신재생에
너지 보조 프로그램(REPI: Renewable Energy Production Incentive)의 지원금 혜택을 얻기 위해서 고군분투함.
□ 美, 태양 에너지 및 신재생에너지 산업 꾸준히 성장할 듯
○ 美 태양 에너지 산업 규모도 계속 성장세
- 2010년 4월 美 태양 에너지 산업협회(Solar Energy Industries Association)가 발표한 2009년 태양 에너지 산업현황 보고서(US
Solar Industry Review)에 따르면 美 주거용 태양광 시장은 전년 대비 2배 증가했으며 2008년 351MW에 불과하던 연간 태양
에너지 설비도 2009년도에는 481MW로 약 37%가량 성장함.
Solar Industry Review)에 따르면 美 주거용 태양광 시장은 전년 대비 2배 증가했으며 2008년 351MW에 불과하던 연간 태양
에너지 설비도 2009년도에는 481MW로 약 37%가량 성장함.
- 특히 모하비 사막이 위치하며 일조량이 풍부한 캘리포니아주가 미국 내 태양광 산업설비 전체 규모 중 61%로 압도적이며 이 밖에
뉴저지(8%), 콜로라도(8%)주가 그 뒤를 이음.
뉴저지(8%), 콜로라도(8%)주가 그 뒤를 이음.
- 또한 미국 태양광(PV) 모듈 평균 설치비용도 2008년 한 해 동안 3.35~4.00달러/w에서 1.85~2.25달러로 40%가량 대폭 하락
했고 미국 내 높은 인건비 상승에도 2009년 태양광(PV) 모듈 평균 설치비는 전년대비 10% 하락한 수치를 보임.
했고 미국 내 높은 인건비 상승에도 2009년 태양광(PV) 모듈 평균 설치비는 전년대비 10% 하락한 수치를 보임.
- 이는 신재생에너지 및 태양광 기술혁신과 지속적인 장비개발로 규모의 경제를 달성했기 때문이며 이러한 태양광 및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가격하락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임.
설비의 가격하락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임.
미국 태양 에너지 산업 성장 추이
자료원 : Solar Energy Industries Association
○ 태양에너지 및 신재생에너지산업 설비 보급을 위한 정부차원의 노력
- 오마바 정부는 美 경기부양책(the American Recovery and Reinvestment Act of 2009: ARRA)의 총 7870억 달러의 지원자금
중 168억 달러를 美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 DOE)에 배정하고 에너지 효율성 향상 및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을 위한
‘그린뉴딜’ 정책에 투자함.
중 168억 달러를 美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 DOE)에 배정하고 에너지 효율성 향상 및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을 위한
‘그린뉴딜’ 정책에 투자함.
- 이에 따라 美 에너지 부(DOE)는 총 168억 달러의 지원금 중 1억1500만 달러는 태양에너지 기술 개발에, 16억 달러는 신재생
에너지 채권발행기금(CREBs: Clean Renewable Energy Bonds)에, 27억 달러는 에너지 효율 및 보완보조금(EECBG: Energy
Efficiency and Conversation Block Grant)에, 그리고 31억 달러를 각 주에 지원금을 전달하는 State Energy Program(SEP)에
각각 투자함.
에너지 채권발행기금(CREBs: Clean Renewable Energy Bonds)에, 27억 달러는 에너지 효율 및 보완보조금(EECBG: Energy
Efficiency and Conversation Block Grant)에, 그리고 31억 달러를 각 주에 지원금을 전달하는 State Energy Program(SEP)에
각각 투자함.
- 또한 2009년 10월 美 에너지국 발표자료에 따르면 美 에너지국은 美 경기부양책(ARRA)으로부터 지원되는 5000만 달러를 포함
한 총 8700만 달러의 자금을 태양광(PV: Photovoltaics) 및 집광형 태양열 발전기술(CSP: Concentrating Solar Power) 개발에
투자할 계획임.
한 총 8700만 달러의 자금을 태양광(PV: Photovoltaics) 및 집광형 태양열 발전기술(CSP: Concentrating Solar Power) 개발에
투자할 계획임.
- 이는 美 지역의 각종 대학기관, 전기회사, 美 에너지국 산하 연구소, 각 주정부 등과 협동으로 진행되는 47개의 태양 에너지 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美 전역에 태양 에너지 산업설비가 빠르게 보급될 것으로 전망됨.
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美 전역에 태양 에너지 산업설비가 빠르게 보급될 것으로 전망됨.
□ 시사점
○ 태양 에너지 산업 호황기 전망
- 태양 에너지 산업협회(Solar Energy Industry Association)의 보고서에 따르면 앞으로 미국에서 주거용 및 상업용 지붕설비
(Rooftop)의 수요가 급등할 것이며 미국의 태양 에너지 산업의 규모가 점차 대형화될 전망임.
(Rooftop)의 수요가 급등할 것이며 미국의 태양 에너지 산업의 규모가 점차 대형화될 전망임.
- 미국의 오바마 정부는 美의 지속적인 경기침체를 극복하고 약 50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막대한
투자를 함.
투자를 함.
- 특히 美 정부는 국내·외 기업을 가리지 않고 신재생에너지산업에 막대한 투자를 하는 만큼 미국의 신재생에너지시장은 점차 유럽,
일본, 독일 등 세계 관련기업들의 각축장이 될 것임.
일본, 독일 등 세계 관련기업들의 각축장이 될 것임.
○ 국내기업, 글로벌 기술력을 바탕으로 美 신재생에너지 관련 지원혜택 놓치지 말아야
- 美 신재생에너지 관련 분야에 진출하려는 국내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도 세금지원 혜택, 융자프로그램 등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관련된 다양한 정부지원 혜택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됨.
프로젝트 관련된 다양한 정부지원 혜택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됨.
- 이에 따라 박막 태양전지 제조업체 FirstSolar.Inc와 중국에 본사를 둔 Yingil green energy Holding Co., Ltd. 등이 美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장려혜택을 받은 바 있으며, 관련 기업은 www.dsireusa.org에서 美 연방정부의 인센티브 정책 및 보조금 혜택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관련기사 : 2010년 7월 22일 자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무역통상정보 '미국의 활발한 태양에너지 프로젝트 배후에는 누가 있는가'
참조)
신재생에너지 장려혜택을 받은 바 있으며, 관련 기업은 www.dsireusa.org에서 美 연방정부의 인센티브 정책 및 보조금 혜택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관련기사 : 2010년 7월 22일 자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무역통상정보 '미국의 활발한 태양에너지 프로젝트 배후에는 누가 있는가'
참조)
- 따라서 국내 관련기업은 신재생에너지기술 분야에서 최고로 평가되는 유럽 및 미국기업들과 경쟁할 수 있을만한 기술력을 확보하
고 美 정부의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다양한 프로젝트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다양한 지원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해야
미국의 태양열 및 신재생에너지 시장 진출에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임.
고 美 정부의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다양한 프로젝트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다양한 지원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해야
미국의 태양열 및 신재생에너지 시장 진출에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임.
자료원 : SEIA, California Energy Commission, California Public Utilities Commission, NextEra Energy, Department of
Energy, SF gate, LA타임즈 등 현지 언론 및 코트라 로스앤젤레스 KBC 자체 보유자료 종합
Energy, SF gate, LA타임즈 등 현지 언론 및 코트라 로스앤젤레스 KBC 자체 보유자료 종합
'재테크 > 그린 에너지/태양 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 미국 태양에너지 전시회(Solar Power International) (0) | 2011.02.08 |
---|---|
태양광 산업, 연습 게임은 끝났다 (0) | 2011.02.08 |
독일 태양광산업, 비싼 대가에도 미래는 글쎄? (0) | 2011.02.08 |
태양열을 가두는 신기술 - 용해소금 탱크 (0) | 2011.02.08 |
호주, 태양광 패널 시장 무르익어 (0) | 2011.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