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 태양광산업, 1200억 유로 비싼 대가에도 미래는 글쎄?
- 일반전력 소비자, 1200억 유로 태양광 발전차액 부담 -
- 스페인·그리스·프랑스보다 최대 50% 낮은 발전효율에도 태양광산업 추진 -
박인성 ( i.park@kotra.or.kr )
□ 태양광 발전차액만 1200억 유로, 비싼 대가에도 결과는?
○ 신재생에너지산업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하며 독일 녹색에너지 붐을 조성하던 태양광산업이 천문학적인 재정부담으로 비난이
거세짐. 고속성장을 거듭해온 태양광산업의 이면에는 막대한 발전차액지원이라는 비싼 대가를 치름.
○ 독일은 스페인, 그리스와 비교할 때 판이한 환경으로 태양광 발전차액지원 카드가 적절치 않게 사용됐다는 평가임.
한마디로 독일 태양광발전의 손익을 따져보면 낙제점이라는데 그 문제가 있음.
이는 세계 곳곳에서 솔라파크를 운영한 獨 태양광발전기업 Phoenix Solar의 운영결과를 비교하면 쉽게 알 수 있음.
- Phoenix Solar가 독일, 스페인, 프랑스에서 솔라파크를 운영해 얻은 전력을 비교하면 아래와 같음. 참고로 뮌헨은 독일에서 가장
뛰어난 태양광 발전지역 가운데 하나임.
3개국 태양광 1kW 솔라모듈당 연간 전력생산량 비교
국가 |
독일 |
스페인 |
프랑스 |
1kW 솔라모듈당 연간 전력생산량 |
983kWh(뮌헨 인근) |
1400kWh(라만차) |
1440 kWh |
태양광 총 발전규모 |
9785MWp |
3635MWp |
272 MWp |
총 전력생산량 |
6200GWh |
6018GWh |
155.8 GWh |
발전차액을 감안한 1유로당 전력생산량 |
471774GWh |
467431GWh |
408 858 GWh |
○ 그럼에도 독일 바이엔주에만 2009년 한 때 약 200건의 태양광모듈이 지붕 위에 설치됨.
올해는 더 많은 태양광모듈이 설치될 것으로 업계는 예상함.
보스턴 컨설팅 그룹은 독일에만 총 8 GW 규모의 태양광모듈이 설치될 것으로 전망함.
□ 일반 전력사용자만 비용부담 가중
○ 그러나 독일은 증가하는 태양광모듈 수요에도 기뻐할 수 없는 입장임.
이유는 독일이 증가하는 태양광모듈만큼 발전차액을 더 지불해야 하기 때문임.
독일은 태양광 발전차액 지원이 끝나는 2011년까지 1200억 유로 이상을 지불해야 할 것으로 보임.
이 금액이 고스란히 전력소비자가 부담하게 돼 너무 비싼 대가를 치른다는 전반적인 평가임.
○ 이를 산술적으로 다시 설명하면 태양광발전 차액지원이 끝나는 2011년까지 태양광발전 설비를 설치해 운영할 경우,
운영자는 1㎾h 당 약 31센트의 발전차액지원 혜택을 받게 됨.
이를 위해 지원하는 발전차액지원금 규모는 1200억 유로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됨.
- 현재 거래되고 있는 전기값이 1㎾h 당 약 5센트 정도인 것에 반해 5배 비싼 전기료를 전력소비자가 고스란히 떠안음.
□ 獨 태양광발전, 여전히 불안한 미래
○ 독일은 천문학적인 발전차액지원 부담뿐만 아니라 발전차액 지원을 노린 중국산 저가 태양광모듈에 더 큰 골머리를 앓고 있음.
독일 큐셀의 경우 가격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독일 생산기지 비터펠드(Bitterfeld) 공장을 폐쇄하고 말레이시아에 셀 생산공장을
이전함.
○ 세계 최대 태양광발전설비 전기부품 제조기업 SMA 솔라는 이미 반도체와 평면디스플레이 생산기업을 위한 사업으로 전략을
바꿈.
□ 전망과 시사점
○ 한국도 독일의 발전차액 지원과 같이 단기적 진흥정책은 언제가 감당하기 어려운 부메랑으로 돌아온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됨.
○ 특히 독일의 막대한 발전차액지원이 태양광 붐과 솔라모듈 설치에 도움을 주었지만 결국 태양광 관련제품 생산과 고용시장에는
더 이상 도움을 줄 수 없다는 것임.
'재테크 > 그린 에너지/태양 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 미국 태양에너지 전시회(Solar Power International) (0) | 2011.02.08 |
---|---|
태양광 산업, 연습 게임은 끝났다 (0) | 2011.02.08 |
캘리포니아, 대규모 Beacon Solar Energy Project 시작 (0) | 2011.02.08 |
태양열을 가두는 신기술 - 용해소금 탱크 (0) | 2011.02.08 |
호주, 태양광 패널 시장 무르익어 (0) | 2011.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