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세대 아이패드의 공식명칭(The new iPad)
3세대 아이패드의 공식명칭(The new iPad)
이번에 발표된 새로운 아이패드가 그냥 "The new iPad"로 불리고 있습니다.
즉, 이름이 그냥 아이패드라는 것입니다. 아이패드3가 아니고 그냥 3세대로 나온 아이패드.
이는 사실 맥 시리즈나 아이팟 시리즈에서 적용하던 명명 방식을 그대로 도입한 것입니다.
세대 구분은 있되, 더 이상 이름에 숫자는 안 붙이겠다는 뜻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편의상 "아이패드3"로 부를 수는 있더라도, 실질적으로는 3세대 아이패드라고 해주는 게 맞는것 같습니다.
뭐 모르는 기자들이 아이패드3라고 하는데....
올해 중후반 쯤에 새 아이폰이 나올 때에도 비슷하게 될 것 같다는 의견입니다.
그렇다면, 앞으로는 이름이 아이폰5가 되냐 아이폰6이 되냐..
이게 무의미해지는 겁니다. 그냥 "새 아이폰"이라고 할 것 같다는 것이죠.
다음, LTE. 애플의 제품발표회 및 공식 사이트에서 공개된 LTE 지원 스펙을 보고 적어봅니다.
http://www.apple.com/ipad/specs/
아이패드의 LTE를 공식 지원하는 통신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미국: AT&T, Verizon
캐나다: Rogers, Bell, Telus
그리고 공식 스펙에는 주파수 지원이 "700, 2100MHz"로 되어있습니다.
2100MHz 부분을 보고 "어? LGU+가 저 주파수를 LTE로 할당받지 않았나?" 하고 잠깐 설레는 분 계실 수 있는데요.
안타깝게도 기대를 접으시는 게 좋습니다.
저기서 말하는 2100MHz란 AWS 주파수를 뜻합니다. 이는 업링크 1700MHz, 다운링크 2100MHz인, 북미에서만 쓰는 독특한 방식입니다.
LGU+가 확보한 건 1번 대역으로 통상적으로 불리는 업링크 1900MHz, 다운링크 2100MHz인 주파수입니다.
AWS 주파수는 현재 AT&T 및 캐나다 3대 통신사가 LTE용으로 씁니다. 700MHz는 AT&T와 버라이즌이 쓰고 있고요. 얼마 전에 캐나다에서 700MHz 대역 경매가 있어서 캐나다 통신사들도 미국 통신사들과 같이 700MHz를 쓰게 됩니다.
결국 3세대 아이패드의 LTE 지원은 철저히 북미 전용입니다.
유럽이 800/1800/2600MHz를 쓰고 우리나라도 800/1800MHz에서 상용 서비스 중이므로 호환이 전혀 안됩니다.
이번의 LTE 지원은 향후 아이폰을 고려한 일종의 "간보기" 성격이 큰 것 같습니다. 북미에서만 지원해도 구매자의 절반 정도를 커버하죠.
'손안의세상 >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메인 저렴하게 등록하는 방법과 사이트 소개 - 1and1.com (1) | 2012.05.04 |
---|---|
아이폰 tv보기, 아이폰 실시간 방송을 볼 수 있답니다. (10) | 2012.04.04 |
3세대 아이패드의 공식명칭(The new iPad) (0) | 2012.03.08 |
[★핫이슈★] iOS5.1 애플 정식 발표 - iTunes를 통한 ios5.1 설치 (0) | 2012.03.08 |
실시간tv보기, 컴퓨터로 tv보기 KBS MBC SBS (21) | 2012.03.05 |
아이폰4s 배터리 해결 전원 리붓팅 만으로 효과를 볼 수 있다 (2) | 2012.02.17 |